
과정개요
자신의 소통 스타일을 분석하여 상대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공감 소통 방법을 학습합니다.
회의 미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퍼실리테이션 기술을 연마합니다.
과정목표
•상사와 후배 간의 중간 관리자 역할을 명확하게 인식합니다.
•후배 육성 및 코칭 스킬과 유형별 상사를 대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.
•셀프 리더로의 자기발전과 성장을 위한 방향성을 설계합니다.
교육대상
신임 중간자
처음 후배 사원을 받아
업무지시가 어려운 신임 중간자
과/차장급
상사와 후배 사이에서
업무처리가 어려운 과/차장급
중간 관리자
신임 중간자로서
비전수립에 관심이 있는 중간 관리자
커리큘럼
과정안내 및 강사소개
[아이스 브레이킹] 퀴즈활동 및 팀빌딩
[성찰질문] 내가 사원일 때 기대했던 선배의 모습은?
공감 토의
1) 사원일 때 기대했던 선배의 모습
2) 후배와의 관계에서 경험했던 당혹감이나 어려움은?
[강의] 위아래 소통의 어려움과 중요성
상사와의 소통, 후배와의 소통
[활동] 공감 소통지수
주어지는 지시문을 읽고, 지시문에 담긴 의도 파악하기
[강의] 80년대생 과차장과 90년대생 후배의 업무/관계/조직에 대한 관점 차이
90년대생 후배와 업무성과 높이기
[사례] 80년대vs90년대생 후배의 업무에 대한 동상이몽
[토의] 함께 일하기 위한 설득/요청/피드백 스킬
Why! Facilitation
[퀴즈] 퍼실리테이션, 퍼실리테이터에 대한 오해와 진실
[토의] 성공 혹은 실패했던 회의 경험 공유
Facilitator의 역할 / Facilitation의 활용
우리 조직 회의 문화 돌아보기
[토의] 성공vs실패했던 회의 경험 공유
우리 조직의 회의 문화는?
이상적 회의 문화 형성을 위한 퍼실리테이터의 역할
회의 유형 : 문제해결 회의, 솔루션(아이디어 회의), 갈등 조정 회의
퍼실리테이션 진행 전 계획해야할 요소들
목적, 참석자, 이해관계자, 진행 프로세스, 산출물,고려요소, 함정, 준비 등
퍼실리테이션 진행 핵심 기법 : 의견 개진/ 참여촉진 / 까다로운 참석자 관리 / 의사결정 등
조 내 회의 주제 선정, 퍼실리테이션 기본 계획 수립
[토의] 선정한 주제의 회의를 진행하기 위한 요소 확인
우리회사 회의문화 Do & Don’t 작성하기